퇴직소득세 기본 계산법
퇴직소득 합산특례 제도
중간 정산을 받은 경우, 퇴직소득 합산특례 제도를 통해 퇴직소득세를 줄일 수 있습니다. 이 제도는 중간 정산된 퇴직금에 대해 최종 퇴직소득세를 정산하는 방식으로, 퇴직 전까지의 근속연수까지 고려하여 세금을 더 적게 부과하는 방식입니다. 이를 활용하면 퇴직소득세를 상당히 줄일 수 있습니다.
IRP 계좌를 통한 퇴직소득세 절세
퇴직금을 일시불로 받지 않고 IRP 계좌에 납입하면, 퇴직소득세는 인출 시까지 과세이연됩니다. 즉, IRP 계좌에 퇴직금을 납입하고 세금을 미뤄두면서, 그 돈으로 재테크를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. IRP 계좌에서 퇴직금을 인출할 때는 퇴직소득세율의 70%만 적용되며, 10년 이상 연금을 받으면 40%까지 세금이 감면됩니다.
퇴직금 수령 방법에 따른 세금 차이
퇴직금을 일시불로 받을 경우, 원금에 대해 소득세가 과세됩니다. 반면, 연금으로 받으면 퇴직소득세가 세율의 70%만 적용되므로, 세금 측면에서 매우 유리합니다. 예를 들어, 퇴직금을 연금 형태로 수령할 경우, 세금 부담이 훨씬 적어지며 장기적인 혜택을 누릴 수 있습니다.
퇴직소득세 계산표
근속연수 | 퇴직소득 금액 | 소득세율 | 누진공제액 | 최종 세액 |
---|---|---|---|---|
1~5년 | 5,000만 원 이하 | 6% | 0원 | 세금 = 금액 × 6% |
6~10년 | 5,000만 원 ~ 1억 원 | 15% | 126만 원 | 세금 = 금액 × 15% - 126만 원 |
11~20년 | 1억 원 ~ 3억 원 | 24% | 1,500만 원 | 세금 = 금액 × 24% - 1,500만 원 |
21~30년 | 3억 원 ~ 5억 원 | 35% | 3,000만 원 | 세금 = 금액 × 35% - 3,000만 원 |
30년 이상 | 5억 원 초과 | 45% | 5,000만 원 | 세금 = 금액 × 45% - 5,000만 원 |
퇴직금 연금 수령 시 절세 표
연금 수령 형태 | 세율 | 세금 감면 | 연금 수령 후 절세 혜택 |
---|---|---|---|
일시불 | 100% 기준 퇴직소득세율 적용 | 없음 | 퇴직소득세를 전액 납부 |
연금 (10년 이상) | 퇴직소득세율의 70% 적용 | 40% 세금 감면 | 세금 부담이 적고 장기적인 재테크 가능 |
퇴직소득 합산특례 제도
조건 | 적용 방법 | 혜택 |
---|---|---|
중간 정산 받은 경우 | 퇴직소득 합산특례 적용 | 최종 퇴직소득세를 다시 정산하여 세액을 줄임 |
Q&A
Q1: 퇴직금을 일시불로 받는 것이 더 유리한가요?
퇴직금을 일시불로 받는 경우, 높은 세율이 적용되므로 절세 측면에서는 불리합니다. 연금 형태로 수령하는 것이 더 유리합니다.
Q2: IRP 계좌에 퇴직금을 납입하면 언제 세금을 내나요?
IRP 계좌에 납입한 퇴직금은 인출할 때 세금이 부과됩니다. 인출 시까지 세금이 연기되며, 재테크를 통해 투자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생깁니다.
Q3: 퇴직금 수령 후 일부 금액을 세금을 적게 내고 인출할 수 있나요?
네, 연금 수령을 통해 일부 금액은 세금 혜택을 받으면서 인출할 수 있습니다. 초과분에 대해서는 높은 세율이 적용됩니다.
이 글을 읽으시는 모든 분들 행운이 가득하시길 바랍니다.!!